출간일 | 2020-11-26 |
---|---|
페이지수 | 228 |
무게 | 307 g |
ISBN | 978-89-6360-371-1 |
서문
1. 만물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2. 나에게는 자유의지가 있는가
3. 나는 이 세상을 알 수 있는가
4. 신은 존재하는가
5.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6. 내가 지닌 권리들은 무엇인가
7. 나는 어떻게 구원받을 수 있는가
부록│철학적 주제에 관한 편지들
주
참고문헌
『서양 철학과 신학의 역사』(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nd Theology)를 쓰고 난뒤, 나는 일반 독자들이 읽기에 부담스럽지 않은 철학책을 한 권 더 쓸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나는 이 책을 역사적인 흐름에 따라 서술하기보다는 주제별로 구성하고, 훨씬 더 짧고 단순하게 서술하기로 했다. 이 책은 철학에 입문하는 학생들(이 중에는 대학과 신학교 수준의 학생들과 일부 고등학생들까지 포함된다)에게 더 적합할 것이며, 철학자들이 제기하는 질문들의 실제적인 성격을 뚜렷이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실제로 우리가 ‘철학적인 질문들’로 부르는 물음들은 우리 모두가 이런저런 방식으로 던져보곤 하는 것들이다. 이 책은 모든 배경에 속한 독자들이 이 질문들을 명확하고 깊이 있게 숙고해 보도록 도와줄 것이다
_‘서문’ 중에서
+ 더보기
대표적인 개혁주의 신학자 존 프레임의 철학과 신학의 만남
“이 책은 모든 그리스도인을 위한 최적의 기독교 철학 입문서다!”
“이 책 한 권으로 우리는 기독교 세계관과 철학, 성경적 구원론과 윤리학의 핵심을 꿰뚫는다!”
- 강영안, 신국원, 우병훈 추천
+ 더보기
강영안,(미국 칼빈 신학교 철학신학 교수)
생각은 물음에서 시작한다. 묻지 않고서는 생각할 수 없다. 물음은 삶에서 경험하는 놀라움과 당혹에서 비롯된다. 그런데 묻기 시작한다 해도 따라가야 할 길을 모르면 제대로 물을 수 없다. 존 프레임의 우리는 모두 철학자입니다는 우리가 물음을 가지고 걸어갈 때 어디를 향해 걸어가야 할지, 무엇에 주의해야 할지, 방향 표시판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에 관해 짧지만 신뢰할 수 있는 안내를 제공한다. 이 책을 통해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철학하는 즐거움을 충분히 누릴 수 있으리라 믿는다.
신국원(총신대학교 신학과 명예교수)
이 책이 존 프레임의 저작이라는 사실이 놀랍다. 대작 서양 철학과 신학의 역사와 같이 그의 책들은 대부분 방대하기 때문이다. 펼치기 전에 겁을 먹지 않아도 될 기독교 철학책이라 너무 좋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친절하기까지 하다는 것이다. 철학과 신학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 최적의 입문서일 뿐 아니라, 모든 그리스도인이 관심을 가질 만한 책이다. 영원을 사모하는 마음이 심겨진 우리 모두가 바로 철학자이기 때문이다.
우병훈(고신대학교 신학과 교수)
대가일수록 오히려 쉽게 설명할 줄 안다는 말이 있다. 이 책을 읽으며 그 말의 의미를 새삼 깨닫게 되었다. 현대의 조직신학자들 가운데 존 프레임만큼 철학적 조예가 깊은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이 책에서 그는 철학적 신학의 주요 주제들을 철학에 문외한인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놓았다. 명불허전이 따로 없다. 그리 두껍지 않은 이 책 한 권으로 우리는 기독교 세계관과 철학, 성경적 구원론과 윤리학의 핵심을 파악하게 된다. 쾌도난마의 박진감과 진지한 성찰, 명쾌한 설명과 자상한 배려가 어우러진 이 책은 신앙적 깊이를 더해 주는 교과서로 안성맞춤이다.
제임스 앤더슨(리폼드 신학교 신학·철학 교수)
나는 학생들에게 누구나 철학을 하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유일한 질문은 우리가 과연 그 작업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이다. 탁월한 신학자인 존 프레임의 이 작고 즐거운 책을 읽는 독자들은 바람직한 철학함을 시작할 수 있는 출발점에 서게 될 것이다. 이는 곧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렌즈를 통해 인생의 큰 질문들을 진지하고 주의 깊게 숙고해 보는 작업이다. 나는 이 책 우리는 모두 철학자입니다를 철학적 사고에 대한 이해하기 쉽고 깊이가 있으며 성경적인 개론서로 열렬히 추천한다.
번 포이트리스(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신약학·성경해석학 교수)
여기에 사람들이 자신과 세상에 관해 품는 큰 질문들을 이해하기 쉽고 매력적인 방식으로 다룬 책이 있다. 이 책에서 프레임은 서양 철학의 역사에서 제시되어 온 여러 대안적인 대답들과 소통하면서 논의를 전개하며, 성경의 계시에 근거한 자신의 답을 대중적이며 명료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스티븐 J. 벨럼(서던 뱁티스트 신학교 기독교신학 교수)
이 책에서 존 프레임은 온전히 성경에 토대를 둔 세계관에 입각해서 일곱 가지의 근본적인 질문들에 답을 주고 있다. 이를 통해 그는 평범한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의 마음을 좇아 철학적 사유에 참여할 수 있게 도와준다. 짧고 대중적이며 읽기 쉬운 방식으로 쓰인 이 책에서, 프레임은 그리스도인들이 인생의 질문들을 놓고 씨름할 때 주님을 경외하는 일이 진실로 지혜의 시초이며 모든 사유의 토대임을 보여주는 대답들을 제시한다. 지금 이 세대에서 복음의 진리를 알고 그것을 선포하기 원하는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역자 송동민은 연세대학교 인문학부와 국제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한 후 백석대학교 대학원에서 기독교철학(M.A.)을, 미국 칼빈 신학교에서 조직신학(Th.M.)을 전공했다. 현재 기독교 서적을 번역하는 일에 종사하고 있으며, 역서로 『맥아더 성경 주석』(공역, 아바서원)과 『영원한 사람』(공역, 홍성사 출간 예정)이 있다.
첫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우리는 모두 철학자입니다”
로그인을 해야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