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가정을 세워가는 데 교회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밝히고 교회와 가정의 긴밀한 연계성을 바탕으로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협력해야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출간일 | 2007-06-26 |
---|---|
페이지수 | 624 |
무게 | 906 g |
ISBN | 89-04-12130-2 |
머리말
제1장 가족에 대한 이해
1. 가족의 정의
2. 가족의 형태들
3. 부부간의 권력구조 모델들
제2장 한국 가족의 가부장적 가족관계
1. 전통 가족의 가부장적 가족관계
2. 현대 한국 가족의 가부장적 가족관계
제3장 기독교 가족과 부부에 대한 이해
1. 가족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2. 그리스도인 부부 권력구조
3. 그리스도인 부부의 친밀성
제4장 가정사역에 대한 이해
1. 가정사역의 정의들과 이해
2. 미국 가정사역의 역사와 중요성
3. 미국 교회들의 가정사역 현황
제5장 가정사역 개발을 위한 한국 교회들의 과제들
1. 한국 교회 내의 가정 문제들의 원인들
2. 한국 교회가 가정사역을 실시해야 하는 이유들
3. 가정사역 개발을 위한 한국 교회들의 과제들
제6장 가정사역의 실제
1. 한국 교회 내에서 가정사역을 처음 실시할 때 부딪치는 문제들
2. 한국 목회자들의 가정사역 경험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
3. 가정사역 실시 단계들 및 지침들
부록 : 영적 전쟁과 저주의 대물림에 관하여
참고문헌
이화여자 대학교 사회사업학과 (B.A)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M.S.W)
Ea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M. Div.)
Christian Theological Seminary in Indianapolis (목회상담학 Th. M.)
Bryn Mawr College (사회사업 박사 과정) 수학
독일 Tubingen대학교 (Doctor of Social Science: 가족 치료 전공)
Philadelphia Child Guidance Clinic 과 The Family Institute of Chicago에서 가족치료 임상 훈련과정 이수
Family Service Association of Grand Rapids, 미시건 주, 임상 사회사업가
서울여자 대학교 사회사업학과 부교수
이화여자 대학교 사회사업학과 부교수
(현} 미국 Fuller 신학교 신학대학원 목회상담학과 가정상담 및 한국 가족학교수
미국 기독교상담가 협회 (Americal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ors) 정회원
미국 결혼 및 가족치료 협회 (AAMFT) 정회원 및 Supervisor
미국 가족치료 아카데미 (American Family Therapy Academy) 정회원
미국 공인 사회사업가 아카데미 (The Academy of Certified Social Workers) 정회원
리포니아주 면허소지 개업 임상 사회사업가 (Licenced Clinical Social Worker)
저서
『Korean Families and Family Therapy, Peter Lang』,『한국가족치료개발론』
첫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한국 교회와 가정사역”
로그인을 해야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