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복제, 인간과 동물의 교잡 실험, 유전자 조작과 변형, 배아 줄기세포 연구, 성체 줄기세포 연구, 낙태, 시험관 아기, 입양, 안락사, 호스피스, 장기 기증, 뇌사 판정과 장기 적출, 자살…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인류의 행복을 증진하려는 노력이 인류를 불행하게 만들고 인류의 본분을 망각하는 일로 이어져서는 안 되겠다. 그러므로 우리는 생명공학의 내용과 거기에 따른 윤리 문제를 진지하게 검토해야 할 것이다.
출간일 | 2006-04-20 |
---|---|
페이지수 | 205 |
무게 | 326 g |
ISBN | 89-04-04051-5 |
• 발간을 축하하며
• 집필진 소개
• 서문
Part 1 생명운동은 어디로 가야하는가?
하나님이 주신 생명 | 맹용길
생명운동과 사망운동 | 이승구
두 종류의 행렬 | 박상은
Part 2 생명공학과 기독교
힘이 있을 때에 | 문시영
진정한 성공의 조건 | 문시영
배아로 오신 예수님 | 김현철
하나님의 섭리와 인간의 욕망 | 김대조
기독교 생명운동의 기본적 출발점 | 이승구
배아도 인간이다 | 이상원
배아 줄기세포 추출은 현대판 몰록신 숭배 | 이상원
시험관 수정은 바른 아기 갖기 방법인가? | 이상원
Part 3 생명의 끝과 기독교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 | 김현철
살리는 사람들 | 문시영
자살과 교회 | 이상원
Part 4 통전적 생명운동을 향하여
입양, 하나님의 자녀를 삼는 복된 사역 | 신원하
예수님의 생명 | 맹용길
망각의 죄 | 박충구
양과 염소가 다른 이유 | 박충구
예수 그리스도의 통전적 생명치유 | 노영상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 | 이승구
사랑과 공의 | 김대조
•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소개
연세대B.A., 고신대 신학대학원M.Div., 미국 칼빈신학교Th.M.를 거쳐 미국 보스톤대학교에서 기독교윤리학 전공으로 철학박사학위Ph.D.를 취득했다. 현재 고신대 신학대학원 기독교윤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복음주의 윤리학회 회장,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교육홍보위원으로 섬기고 있다.
총신대 신학과B.A.와 신학대학원M.Div.,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교Th.M., 보스톤대학교를 거쳐 네덜란드 캄펜개혁신학대학교에서 기독교윤리학 전공으로 신학박사학위Th.D.를 받았다.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기독교윤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총무이사, 성산생명윤리연구소 부소장으로 섬기고 있다.
총신대 기독교교육과B.A., 서울대학교M.Ed., 합동신학원M.Div.을 거쳐영국 앤드류대학교에서 조직신학 전공으로 철학박사학위Ph.D.를 취득했다. 현재 국제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키에르케고어학회 회장,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이사로 섬기고 있다.
런던 바이블 칼리지(Ph.D)
서울 공대B.S, 침례신학대학원M.Div.을 거쳐 미국 사우스웨스턴신학교에서 MARE를 받았다. 현재 목산교회 담임목사로 재직 중이며, 낙태반대운동연합 공동실무책임,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이사로 섬기고 있다.
서울농대B.S., 장신대 신학대학원에서 M.Div., Th.M, Th.D.를 받았다. 현재 장신대 신학대학우너에서 기독교 윤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예장(합동) 생명윤리위원회 위원장,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교육이사로 섬기고 있다.
한남대B.A., 장신대 신학대학원M.Div., 미국 컬럼비아신학교Th.M.를 거쳐 미국 에모리대학교에서 기독교윤리학 전공으로 철학박사학위Ph.D.를 취득했다. 장신대 신학대학원 교수 및 총장을 역임했으며, 한국기독교생명윤리위원회 위원장으로 섬겼다.
숭실대B.A., 장신대 신학대학원M.Div.을 거쳐 숭실대에서 철학 전공으로 철학박사학위Ph.D.를 취득했다. 현재 남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총무이사,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이사로 섬기고 있다.
고려대 의대에서 의학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카버난트신학교에서 수학하였다. 샘안양병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며, 고려대 및 성균관대 외래교수, 누가회 이사장, 생명윤리학괴 부회장,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이사로 섬기고 있다.
감신대B.Th., 감신대 신학대학원Th.M., 독일 본대학을 거쳐 미국 드류대학교에서 기독교윤리학 전공으로 철학박사학위Ph.D.를 취득하였다. 현재 감신대 기독교윤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대기독교사회윤리연구소 소장,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정책위원으로 섬기고 있다.
첫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생명공학시대의 생명주권 생명사랑”
로그인을 해야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