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의 세계적 에큐메니칼 운동 지도자요 선교사인 크레머의 역작.
평신도운동은 성서에 근거한 교회의 본질에 속하는 문제이고, 본질적인 기독교인의 생활운동임을 밝히고, 평신도 운동을 통한 교회혁신의 방향을 명시하고 있다.
출간일 | 1963-02-28 |
---|---|
페이지수 | 212 |
무게 | 346 g |
ISBN | 89-511-0041-3 |
한국의 독자 여러분에게
머리말
서론적 고찰
제1장 시대의 징조
1. 역사상에 나타난 평신도의 활동
2. 앵글로색슨의 경우
3. 평신도 문제
4. 교회 혁신의 기관들
제2장 역사에 나타난 평신도의 신학적 신분
1. 교회의 성서적 개념으로부터의 이탈
2.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외도
3. 종교개혁으로 말미암아 시작된 근본적인 변화
4. 평신도의 완전한 부분으로서의 여성
5. 평신도가 교회를 만든다
제3장 평신도 신학은 가능한가?
1. 교회의 새로운 약동기
2. 교회 조직의 재검토
3. 항상 자기 혁신의 모험을 가진 교회
5. '만인 제사론'과 그 비판
6. 정교회의 '플레로마'
제4장 평신도 신학을 위한 서곡
1. 모든 회원
2. 사도신경 - 충성의 서약
3. 주의 기도문 - 형제적인 연대 책임
4. 세상 속에 있는 평신도
5. 평신도 신학 - 복종과 감사
6. 교회를 인식하는 일
제5장 평신도 신학
1. 교회는 세계를 위하여 존재한다
2. 교회는 선교이다
3. 교회는 교직이다
4. 초기의 봉사(디아코니아)
5. 교회는 디아코니아이다
6. 디아코니아는 그리스도의 인격에 근거하고 있다
7. 모든 사람이 인침을 받고 있다
8. 평신도의 참된 의미
9. 평신도의 책임 있는 참여
제6장 결론
1. 평신도의 고유한 직무
2. 평신도의 장애 없는 대화
3. 교회의 동결된 재산
4. 새로운 방법은 무엇이냐?
5. 평신도는 교회의 분산이다
6. 교회는 세계에 개입하는 집단이다
역자 후기
크레머 박사는 화란 태생의 세계적인 선교사요, 철학자요, 동양종교학자인 동시에 평신도 운동과 에큐메니칼 운동의 세계적 지도자이다. 그는 The Christian Message in a Non-Christian World(1938)를 발표함으로써 에큐메니칼 운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초대 WCC의 부설기관인 에큐메니칼 학원(Ecumenical Institute at Bossey)의 원장을 시무한 개척자였다.
첫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평신도신학 : 평신도신학의 신학적 기초”
로그인을 해야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